티스토리 뷰
선배, 그 립스틱 바르지 마요 정보
'나도 모르게 시작된 사랑' 직진하는 후배와 연하는 남자로 안 보이는 선배의 밀고 당기는 셀렘을 담은 로맨스 드라마입니다. 2021년 1월 18일~2021년 3월 19일까지 16부작 방영했습니다. 웹소설이 원작이기도 합니다. 시청률은 평균 2%였습니다. 연출은 이동윤 감독이 맡았습니다. 이동윤 감독은 배우 간의 미묘한 감정 변화를 놓치지 않고 포착하며, 로맨틱 코미디 장르의 달콤함과 진지함을 적절히 조화시키는 연출을 보여줍니다. 극본은 채윤 작가가 맡았습니다. 채윤 작가는 이 드라마를 통해 처음으로 대중에게 이름을 알렸으며, 원작의 스토리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드라마의 형식에 맞게 각색해 내는 능력을 보였습니다. 채윤 작가의 대본은 직장 내 로맨스라는 설정 아래에서 인물들의 심리와 감정을 잘 담아내며, 공감할 수 있는 대화와 상황 설정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갔습니다.
등장인물
윤송아 (원진아) 여자 주인공으로, 화장품 브랜드 끌라르 마케팅 팀에서 일합니다. 그녀는 순한 외모탓에 쉽게 보이기도 하지만 일적으로 리더십이 있습니다. 현재 일을 너무나도 사랑하며 언젠가는 자신의 브랜드를 내고 싶어 합니다. 그러나 마음을 잘 드러 내지 않고 사랑에서는 조심스러운 행동을 보입니다. 채현승 (로운) 윤송아의 후배로, 같은 회사의 마케팅 팀에서 근무합니다. 화목한 가정에서 바른 가치관을 배웠으며 집에서 사랑을 많이 받고 자랐습니다. 잘 생긴 얼굴에 자신감과 밝은 성격가지 까지고 있습니다. 그는 윤송아에게 호감을 보이며, 그녀에게 사랑을 고백합니다. 채현승은 열정적이고 직진적인 사랑을 보여줍니다. 이재신 (이현욱) 끌라르 브랜드 팀장입니다. 젊은 나이에 팀장 자리에 올라갈 만큼 능력이 있습니다. 팀원들에게는 친절하고 좋은 상사이기도 합니다. 다 가진 듯 해 보이는 그는 가족관계가 복잡합니다. 윤송아의 전 남자친구 이기도 합니다. 이효주 (이주빈) 끌라르 화장품 회장의 손녀입니다. 직업은 포토그래퍼입니다. 얼굴은 이쁘고 성격은 거침이 없습니다. 하지만 가족관계에서 외로움을 느낍니다. 재신을에게 사랑의 감정을 느낍니다.
드라마 줄거리
화장품 회사 끌라르 에서 일하는 윤송아(원진아) 순한 외모덕에 쉽게 보는 사람들이 있으나 그녀는 일적으로 능력이 있습니다. 언젠간 자신의 화장품 브랜드를 내고 싶어 하고 진심으로 이 직업을 사랑합니다. 그녀는 직업적으로는 성공적이지만 마음은 잘 드러 내지 않으며 조심스러운 행동을 보입니다. 이러한 송아의 삶에 변화가 찾아옵니다. 대학교 취업설명회 때 온 윤송아에게 첫눈에 반해 지금 회사까지 입사하게 된 채현승(로운)이 등장합니다. 그러나 송아에게 이재신(이현욱)이라는 남자친구가 있었고 둘은 사내연애 중인 것을 알게 됩니다. 그걸 받아들이려고 했으나 채승현은 누나가 하는 웨딩드레스샵에서 다른 여자와 있는 이재신을 보게 됩니다. 송아가 이재신을 만날 때 빨간 립스틱을 바른다는 건 알게 된 현승은 그 립스틱을 지워 버립니다. 그리고 그가 나를 만나면서 다른 여자를 만났다는 것을 알게 된 송아는 이별합니다. 그리고 복수를 하고 싶어 합니다. 현승은 그럼 자신과 연애하자고 고백합니다. 연하는 남자로 안 보인다는 송아는 현승을 마음속에 담아두고 있었습니다. 두 사람은 사랑을 고백하며 사랑을 이어갑니다.
리뷰 및 해외반응
직장 내 로맨스 장르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으며, 특히 젊은 세대의 사랑과 성장을 주제로 한 스토리텔링으로 주목받았습니다. 사랑뿐만 아니라 개인의 성장, 직장 내 여성의 도전과 같은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현실적이면서도 감성적인 이야기들이 돋보입니다. 연기력이 뛰어난 배우들의 호흡과 섬세한 연출은 감정의 미묘한 변화를 잘 포착하며, 시청자들로 하여금 깊은 공감을 느끼게 합니다. 해외 반응에 관해서는, 한국 드라마가 전 세계적으로 폭넓은 팬층을 확보하고 있는 상황에서 "선배, 그 립스틱 바르지 마요"도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습니다. 드라마 리뷰, 스트리밍 플랫폼의 댓글 등에서 해외 팬들은 드라마의 캐릭터와 스토리 전개에 대해 호평을 남기며, 특히 주인공들의 사랑 이야기가 주는 설렘과 감동에 대한 칭찬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사랑의 아름다움과 함께 그 속에 있는 갈등과 성장을 현실적으로 보여주며, 따뜻한 위로와 공감을 설레임을 선사했습니다.